작년에 양도를 여러번 했다면 5월까지 양도소득세 확정신고를 해야 합니다.
- 세금
- 2023. 5. 19.
양도소득세는 건물이나 토지를 양도할 때, 고정자산의 영업권, 이용권, 회원권 등 재산의 소유권을 양도할 때, 부동산에 관한 권리를 양도할 때, 법인이 발행한 주식(상장 및 비상장)을 양도할 때 발생하게 되는 양도차익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 양도소득세는 부가가치세, 종합소득세, 법인세 등과 같은 방식으로 자율신고하여 납부하는 세금입니다. 국세청은 신고 내용에 이상이 있을 때에는 세무조사를 할 수 있습니다.
재산을 양도하게 되면 보통 2개월 이내에 관할 세무서에 양도소득세를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. 이 신고를 예정신고라고 합니다. 이 예정신고를 하지 않게 되면 무신고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 한 해에 1건의 재산만 양도하면 예정신고 한 번으로 모든 의무는 끝납니다.
하지만 한 해에 여러 건의 양도가 발생했다면, 다음 해 5월 중에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확정신고를 해야 합니다. 신고기한 내에 예정신고나 확정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세무조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그리고 단순 무신고 가산세 20% 혹은 부당무신고(부당과소신고) 가산세 40%가 부과됩니다. 또한 양도소득세를 납부하지 않으면 납부지연 가산세를 하루당 0.022% 가산하여 납부해야 합니다.
한 해에 양도를 여러 건 하게 되면 부과되는 양도소득세가 많아질 수밖에 없습니다. 양도소득세는 누진세이기 때문에 소득이 높아지면 세율도 점점 더 높아지는 것입니다. 따라서 양도소득액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면 시간을 두고 해를 바꿔 한 건씩 양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여러 재산을 한꺼번에 처분할 때 양도 이익을 볼 수 없다고 판단되는 재산을 함께 양도하는 것도 절세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양도소득세는 합산하여 과세하기 때문에 손해가 이익을 차감하면 세율이 그만큼 낮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.
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'세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체납자가 로또에 당첨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(0) | 2023.05.23 |
---|---|
채무 변제에 따른 이자 소득의 세금(빌려 준 돈을 돌려 받았을 때 이자에 대한 세금) (0) | 2023.05.21 |
부가가치세까지 납부했는데 거래처가 부도가 난 경우 납부했던 세금 되돌려 받는 방법 (0) | 2023.05.17 |
세금계산서의 수정 발행, 세금계산서 취소 방법 (0) | 2023.05.17 |
성실신고확인대상자가 기억해야 할 점 (0) | 2023.05.15 |